분류 전체보기8 오로라(Aurora), 하늘에서 빛나는 묘한 현상 하늘에서 빛나는 묘한 현상, 밤하늘을 가로질러 춤추는 오로라 개요 오로라는 우주에서 지구로 유입되는 하전 입자들이 고층대기의 기체들과 충돌하여 빛을 내는 현상입니다. 지구 자기력선을 따라 대기로 낙하하는 하전 입자들(주로 전자)이 대기 중 원자 혹은 분자들과 충돌하면 들뜬상태가 되는데, 들뜬 기체들이 원래의 바닥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방출하게 됩니다. 오로라는 어디서 발생하나요? 오로라는 고도 100km부터 320km사이에서 주로 발생하며 자극을 중심으로 약 20° 떨어진 위도 대에 주로 분포합니다. 태양 활동이 활발할 때는 남쪽으로 치우쳐 오로라가 분포합니다. 이 현상은 지구뿐만 아니라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에서도 흔히 관측됩니다. 오로라의 형태는 어떠한가요? 우주에서 바라본 오로라는 자기축을 .. 2024. 2. 15. 물리학, 슈뢰딩거의 고양이(Schrödinger's cat) 물리학,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알아보자 개요 양자역학의 대표적인 사고실험인 '슈뢰딩거의 고양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1935년 물리학자 슈뢰딩거가 양자역학의 코펜하겐 해석을 비판하기 위해 고안한 사고실험이며, 양자 대상의 중첩(두 가지 상태가 동시에 존재)과 측정에 의한 중첩 상태의 환원에 대한 문제를 제기합니다. 양자역학에서 시스템에 대한 정보는 파동함수에 들어있습니다. 그러나 파동함수 전체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특정 물리량(위치와 운동량 등)을 측정하면 그 결과를 부분적으로 파동함수와 연관시킬 수 있습니다. 예시 예를 들어, 원자의 방사성 붕괴는 고전역학이 아닌 양자역학으로만 설명할 수 있는 현상입니다. 모든 원자는 붕괴할 확률이 있으며, 원자가 생성된 시점부터 확률이 반이 되.. 2024. 2. 13. 수학의 신비 탐험, '세제곱 곱셈 공식' 세제곱 곱셈 공식, 수학의 신비 탐험 개요 수학의 세계는 매우 광대하고 신비롭습니다. 그 중에서도 곱셈 공식 중 하나인 '세제곱 곱셈 공식'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세제곱 곱셈 공식이란? 세제곱 곱셈 공식은 두 수 'a'와 'b'의 세제곱꼴이 나타나는 공식입니다. 이 공식은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a + b)³ = a³ + 3a²b + 3ab² + b³ 이 공식은 두 수의 합의 세제곱이 각 수의 세제곱과 두 수의 곱을 포함하는 항들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세제곱 곱셈 공식의 적용 이 공식은 복잡한 계산을 단순화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두 수 2와 3의 합의 세제곱을 계산하려면 다음과 같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 (2 + 3)³ = 2³ + 3*(2²*3) + 3*(.. 2024. 2. 7. 엔트로피(Entropy), 열역학 제2법칙 엔트로피(Entropy), 열역학 제2법칙 개요 엔트로피는 열역학과 통계역학에서 중요한 개념입니다. 엔트로피는 물질의 열역학적 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 중 하나로, 계(system)에서 에너지의 흐름을 설명할 때 이용되는 상태함수입니다. 일반인들에게는 주로 무질서도(randomness 또는 disorder)라는 개념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통계역학적으로 주어진 거시적 상태에 대응하여 나타나는 모든 미시적 상태 수의 로그값을 의미합니다.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전체 계의 엔트로피는 항상 증가하는 방향으로 일어난다고 합니다. 즉, 우주 전체의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변화 현상은 일어날 수 없습니다. 이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엔트로피의 특성을 보여줍니다. 엔트로피(Entropy)의 도입 엔트로피의 개념은.. 2024. 2. 6. 이전 1 2 다음